화성시사회적경제센터 Hwaseong Social Economy Center

알림마당 센터알림방 열린알림방 센터이야기 뉴스레터 언론보도
메인으로 이동 > 알림마당 > 언론보도

유토피아 꿈꾸는 마을 마리날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2,236회 작성일 14-04-22 17:37

본문

유토피아 꿈꾸는 마을 마리날레다

한겨레21  |  작성자 엄지원게시됨: 

스페인 안달루시아 2700명 소도시
직접 민주주의·협동조합·공동경작…
무상의료, 무상주거… 빚질 일이 없어
경찰은 없고, 혁명가와 시인을 사랑하는 마을

‘우모소’ 농장에서 일한 지도 22년이다.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줄곧 농부로 살았다. 사람들은 안토니오(52)에게 삶을 선택할 기회가 없었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스페인에서도 개발이 안 된 남부 안달루시아 지역, 지도에도 표시되지 않는 마을 마리날레다에서 꼬박 반백년을 살았으니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아니다. 그것은 틀린 말이다. 안토니오는 스스로 선택하고, 몸을 던져 지켜냈던 세상 속에서 살고 있다. 언젠가 우모소 농장은 안달루시아 대지주의 땅이었다. 안토니오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그 땅에 고개를 조아렸다. 안토니오와 친구들의 삶은 달랐다. 2013년 12월14일 현재, 1200ha(12km²)에 이르는 땅은 마리날레다 주민 대부분의 경제를 받쳐주는 지반이다.

default

우모소 농장

정오가 가까워오자 초겨울에도 안달루시아의 햇살은 눈부셨다. 상추 모종에 비료를 주던 안토니오가 굽혔던 허리를 폈다. 멀리 우모소 농장의 입구가 보인다. 한때 장원의 재산을 지켜주었을 하얀 담장에는 하나의 글귀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다. “Este cortijo es para los jornaleros en paro de Marinaleda”(이 농장은 마리날레다의 소작농을 위한 것이다). 안토니오에게 우모소 농장은 그가 선택해 일군 유토피아다.

1991년 마리날레다의 소작농들은 오랜 투쟁 끝에 대지주의 땅을 자신들의 것으로 인정받았다. 이 ‘무혈혁명’은 인구 2800명, 면적 25km²의 작은 마을 마리날레다를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공동체로 만들었다.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서구 언론은 이 마을을 ‘사회주의 유토피아’로 소개하기 시작했다. 자본주의의 대안을 찾는 숱한 몽상가들이 이 마을로 모여드는 이유다.

안달루시아 구릉지대의 황금빛 올리브나무 물결 속에서 마리날레다 마을은 그처럼 떠들썩한 관심이야 상관없다는 듯 한적했다. 주도인 세비야에서 동쪽으로 108km 떨어진 이 마을은 일부러 찾는 이가 아니라면, 좀체 다다르기 어려운 곳이다. 마을 중심부인 시청에 이르면 그제야 마리날레다의 ‘본색’이 드러난다.

 

바나 베네수엘라 뒷골목을 연상시키는 그라피티와 벽화가 번연히 시청 앞 거리에 그려져 있었다. “TV를 끄고 네 마음의 소리를 들어라” “자본에 저항하는 사회적 전쟁” “단결된 마을은 누구도 억압할 수 없다” 같은 구호들이다. 고개를 돌려 시청을 바라보니 그 외벽에도 구호가 프린팅돼 있다. “마리날레다, 평화를 향한 유토피아.” 시청 건물에 새겨진 ‘유토피아’라니, 지나치게 자신만만한 것이 아닌가.

default

마리날레다 로고 옆에 그려진 체 게바라의 얼굴

공공연히 왕정을 부정하는 마리날레다 시내에는 스페인 왕국의 깃발이 없다. 경찰도 없다. “경찰이 없으니 한 해 예산 가운데 3억7천만원가량이 절감된다”는 설명이다. 대신 그들은 혁명가와 시인을 지지한다. 독재자 프랑코를 기리던 광장은 칠레의 첫 좌파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의 이름으로 갈아입었다. 공공체육관 외벽에는 거대한 체 게바라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거리에는 스페인의 국민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와 칠레의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를 이름 붙였다. 스스로 ‘투쟁에서 승리했다’는 자긍심은 마리날레다 어디에서나 쉬 읽혔다.

마리날레다는 원하는 것을 얻어냈을 뿐 아니라 그 결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마을에서 차로 10분 정도 이동하면 만날 수 있는 우모소 농장에선 올리브를 비롯해 아티초크, 콩, 고추 등을 재배한다. 농장에 붙어 있는 제1공장에서는 올리브오일을, 마을 외곽의 제2공장에서는 통조림을 만든다. 생산품의 70%는 다른 식료품 업체에 판매하고, 30%는 ‘우마르’라는 자체 브랜드로 판매한다.

마리날레다의 주요 결정은 모두 주민회의를 통한다. 월평균 세 차례 열리는 이 회의에서 후안 마누엘 산체스 고르디요 시장은 직접 의제를 설명한다. 늘 300~400명의 주민이 참여하는 회의를 통해 주민들은 시장마저 탄핵할 수 있다.

농장과 공장을 꾸려가는 것은 ‘우마르’ 협동조합이다. 마리날레다가 ‘사회주의 유토피아’라고 불리는 것은 이 협동조합 때문이다. 마리날레다의 모든 노동자는 노동자연합(SOC)이라 불리는 노조에 가입돼 있다. 이들은 업무에 관계없이 동일 임금을 받는다. 하루 47유로(약 7만원)씩 월평균 1200유로(약 180만원)다. 넉넉하진 않다. 스페인의 최저임금이 월 700유로를 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하면, 부족한 돈도 아니다.

노조에 가입된 이들은 우마르 협동조합을 통해 일거리를 찾는다. 이를 통해 마리날레다는 사실상 완전고용을 달성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안달루시아 지역의 실업률이 36%에 이르는 것과 대조된다. 스페인 전체 실업률이 26% 수준이다. 이곳에서는 일자리를 원하면 누구나 협동조합을 통해 일자리를 구할 수 있다. 일자리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100명이 전일 근무할 노동량에 200명이 지원할 경우 반일 근무로 조정해 모두에게 배분하는 식이다. “많은 돈을 버는 게 우리의 목적은 아닙니다. 누구에게나 노동의 공간을 만들어줘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지요.” 시에서 노동 자문을 하고 있는 돌로레스(52)가 설명했다.

세네갈에서 온 후세인(28)도 우모소 농장의 노동자다. 그는 사회주의에도, 자본주의에도 관심이 없다. 일자리가 있는 곳이면 족하다. 7년 전 세비야에 온 뒤 그는 노점에서 옷을 팔며 돈을 벌었다. 금융위기가 닥친 뒤 돈벌이가 뚝 끊겼다. 무일푼으로 거리를 전전하는 그에게 스페인 친구가 권했다. “내 고향에 가보는 게 어때? 거긴 늘 일자리가 있거든.” 4년 전 후세인이 연고도 없는 전원마을 마리날레다로 흘러들어온 이유다.

초겨울의 공원에서 노숙하던 ‘불법체류자’ 신분의 후세인에게 마리날레다시는 취업비자 발급을 도와주고 축구경기장의 선수대기실 열쇠를 건넸다. “마리날레다는 이민자들을 보호해주고 또 다른 동력을 주는 장소인 게 분명해......

 

출처: 허핑턴포스트, http://www.huffingtonpost.kr/2014/04/12/story_n_5136650.html

네이버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톡
화성시사회적경제센터 Hwaseong Social Economy Center

우) 18527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서촌길 19
대표번호 : 031-352-9400 팩스 : 031-359-8967 이메일 : 80599909@daum.net
Copyright ⓒ 2020 All Rights Reserved

  • 게시물이 없습니다.
TOP TOP 알림방 사회적기업현황 센터이야기 뉴스레터 hssvi 사회적경제 제품 카탈로그 erounshop manufact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