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일 근무, 1개월 휴가주는 시골빵집
페이지 정보
본문
한겨레 | 작성자 이재성 기자
지역, 환경, 사람을 함께 생각하는 실험,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이윤을 내지 않겠다”고 선언한 빵집이 있다.
일주일에 나흘 문을 열고 일년에 한달 장기휴가를 간다. 이 빵집은 지속가능할까?
와타나베 이타루가 한 손에 <자본론>, 다른 손에 천연효모를 들고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을 시작한 것은 2008년이다. 햇수로 7년째니 지속가능함을 스스로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와타나베는 이 책에서 시골에 빵집을 내게 된 사연과 이윤을 내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유, 천연효모와 천연누룩균으로 빵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재치있게 소개한다. 특히 제빵 기술을 배우기 위해 취업한 한 빵집의 노동 착취 현실을 고발하는 대목에서 시작되는 ‘시골 빵집의 마르크스 강의’가 인상적이다. 아버지의 소개로 마르크스를 읽게 된 그는 자본가가 가져가는 이윤의 비밀이 ‘노동자가 만들어내는 상품의 교환가치를 넘어서는 만큼의 초과노동시간’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와타나베의 마르크스주의 실천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생명운동 차원으로 격상된다.
원래 일본 도쿄에서 가까운 지바현에서 빵집을 열었던 와타나베 가족은 깨끗한 물을 찾아 혼슈 서남부 지방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의 산골마을인 가쓰야마로 빵집을 옮긴다.
이곳에서 와타나베는 농약은 물론 비료도 쓰지 않는 자연재배 농법으로 밀과 쌀, 채소를 키우는 농가, 대나무로 소쿠리 등을 만드는 전통 죽세공 장인 등을 만나 순환하는 지역경제를 만들어가고 있다. 카를 마르크스와 레이철 카슨이 시골에서 <오래된 미래>를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혁명을 외치지 않는다. 낮은 목소리로 ‘체제 밖으로의 탈출’을 권한다.
초과노동시간이 이윤의 원천임을 알게 된 그는 이윤을 내지 않는다. 자연재배한 좋은 재료를 이용해 인공 배양균(이스트)을 쓰지 않고 제대로 만든 빵을 제값 받고 팔아 빵집을 꾸려간다. 일주일에 나흘 문을 열고 일년에 한달 장기휴가를 가도 빵집이 유지되는 비결이 여기에 있다.
이 책을 쓴 와타나베 이타루는 1971년생이다. 그는 자칭 ‘별 볼일 없는 청춘’이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삿짐센터 아르바이트로 이따금 돈을 벌어 폭주족 흉내나 내며 살았다. “딱히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달리 할 일도 없었다.”
변화가 찾아온 것은 1994년, 그의 나이 스물세살 때였다. 학자였던 아버지가 안식년을 맞아 헝가리로 가게 됐는데, 어머니가 그의 등을 떠밀어 함께 가게 됐다. 그곳에 사는 일본인들의 모임에서 그는 심한 열등감에 빠지게 된다. 리스트음악원에 다니는 사람, 올림픽 대표선수, 발레리나 등 다들 ‘무언가를 하는’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에 돌아온 그는 대학에 들어가기로 했다. 의사였던 할아버지처럼 의대에 가고 싶었지만 중학교 1학년 교과서부터 다시 공부해야 하는 그에겐 언감생심이었다. 대신 농학부에 합격했다. 경제발전이 늦었지만 전통 식문화가 풍성했던 헝가리에서의 경험이 그를 농업의 길로 이끌었다.
대학 졸업 뒤 유기농산물 도매회사에 취직했다. 그러나 말이 유기농산물회사지 부도덕하기 짝이 없는 “블랙기업”이었다. 원산지 위조를 예사로 하고, 직원들은 거래업체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아 나눠먹었다. 상사의 리베이트 유혹을 뿌리치고 더 윗선에 사실을 보고했지만 돌아온 건 ‘왕따’였다. 자본주의의 모순과 부도덕함을 절감한 그는 2년 만에 ...
출처: http://www.huffingtonpost.kr/2014/06/09/story_n_5471149.html?utm_hp_ref=tw
- 이전글[셰어하우스가 뜬다] "혼자 살고 싶지 않아요"…셰어하우스, 1인 가구 시대 '틈새 상품' 14.06.25
- 다음글'공유경제' 한국-세계인 선호도 조사해보니... 1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