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사회적경제센터 Hwaseong Social Economy Center

알림마당 센터알림방 열린알림방 센터이야기 뉴스레터 언론보도
메인으로 이동 > 알림마당 > 언론보도

고시원 가격에 볕드는 12평 집...'사회주택'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1,968회 작성일 14-08-05 10:43

본문

[쿨머니, 소비는 투표다]<청년주거>민달팽이유니온

 

머니투데이 이경숙 기자 , 조득신 이로운넷 소셜리포터 |입력 : 2014.08.02 08:39

 

110명이 모였다. 8200만 원을 모았다. 서울시 남가좌동에 12평(40.39㎡)짜리 집 2채를 장기임대했다. 깔끔하게 인테리어하고 드럼세탁기와 책상 따위 필수 집기를 갖춰 넣은 다음, 공고를 냈다.

'보증금 50만 원에 월세 20만 원(2인실 기준).'

이건 주변 시세의 75% 수준이다. 월세 20만 원이면 서울에선 딱 한 명 발 뻗고 누울 수 있는 고시원, 혹은 볕 안 드는 반지하방 정도 구할 수 있는 돈이다. 이 가격은 임대수익 자체를 포기했다는, 즉 밑지는 장사를 한다는 뜻이다.

대체 어떤 이들이기에 이렇게 밑지는 임대사업을 시작했을까. 비영리주거공급 협동조합 '민달팽이'의 110명 조합원들이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변기 물소리에 잠 깨고 원거리 출퇴근하는 '민달팽이들'

지난달 16일 열린 서울시 남가좌동에서 열린 '달팽이집' 설명회에는 여러 사연을 지닌 9명의 지원자가 왔다.

제주도에서 서울로 일하러 온지 3년째인 26세의 한 조합원은 지금 고시원에 살고 있다. 새벽마다 그는 잠을 설친다. 그의 방 오른쪽은 화장실, 왼쪽은 부엌. 다른 이의 생리현상으로 일어나는 소음을 어찌 막을 것인가. 방음 안 되는 벽을 원망할 뿐.

25세의 한 조합원은 2년째 매일 천안과 서울을 오간다. 서울역 근처 대학에 다니지만 주거비가 비싸 천안의 부모 집에서 나올 엄두를 못 냈다. 휴학하고 상암동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기 시작하면서 출퇴근에 드는 시간은 더 길어졌다.

이들은 민달팽이 같은 처지다. 달팽이들과 달리 민달팽이들한테는 집이 없다. 그래서 민달팽이 협동조합이 공급하는 임대주택 이름은 ‘달팽이집’이다. 민달팽이 같은 주거 빈곤 청년들에게 달팽이집 같이 작더라도 안정적인 집을 주자는 뜻을 담았다.

◇"서울 청년 36%가 주거 빈곤층...지하방, 고시원 등 최저 조건에 살아"

민달팽이 협동조합의 권지웅 이사장은 "서울의 1인 청년 36%가 주거 빈곤 상태"라고 말했다. 이들은 지하방, 고시원 등 최저 주거기준 미달 주택에서 산다. 서울시 거주 대학생의 월 평균 소득이 79만7000원인데, 서울에서 원룸 평균 월세는 41만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139만 명의 청년이 주거빈곤층이다.

민달팽이 협동조합은 주거 빈곤에 빠진 청년 세입자들을 위해 지난 3월 설립됐다. 비영리민간단체인 민달팽이 유니온(www.minsnailunion.org)이 모체다.

2011년 창립된 민달팽이 유니온은 지하방 생활자들이 모여 처음엔 제습제를 공동구매하고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한테 주거 보조금을 장학금으로 줬다. 그러다 점차 세입자들을 위한 정책 제안, 청년 주거상담사 양성까지 활동범위가 넓어졌다. 그만큼 열악하게 사는 청년들이 많았다.

그러나 힘겨운 노력들은 정책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삶은 바뀌지 않았다. 권 이사장은 "아예 우리가 필요한 집을 우리가 돈을 모아 직접 공급해보자는 생각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전세 얻으려면 월 100만원 씩 모아도 10년은 모아야 해요. 주거 문제는 나 혼자 겪는 게 아닙니다. 혼자서 풀려고 하면 풀기 힘듭니다."

◇다 함께 마련해 여럿이 살게 하는 '사회주택'

그래서 나온 해법이 소셜 하우징(Social housing) 즉 사회주택이다. 사회주택은 한 사회가 함께 주택을 마련해 여럿이 함께 산다.

권 이사장은 "주택 하나를 마련해 여럿이 사는 주거형태를 뜻하는 셰어하우스(Share house)와 달리, 사회주택은 집을 마련하는 과정에 한 사회가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해외의 사회주택 사례를 보면 정부는 건축기금을, 지자체는 빈 땅을 장기로 빌려줍니다. 청년들의 주거 빈곤문제 해결엔 민간뿐 아니라 공공 부문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국가 전체가 겪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니까요."

민달팽이들이 바라는 지원은 크지 않았다. 정책금리 2%, 장기 상환 프로그램. 정부가 공동임대사업을 위해 건축업자들한테 제공하는 것 정도다. 이런 자금이 있으면 더 많은 주택을 장기임대해 청년세입자들한테 낮은 임대료로 공급할 수 있다.

“달팽이집이 편의점 개수만큼 생기길 바란다"는 그가 최근 눈여겨보고 있는 곳이 있다. 서울시가 혁신파크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한 옛 국립보건원 자리다.

그는 "현재 텃밭으로 쓰이고 있는 테니스장 옆 나대지에 사회적경제 조직에서 일하는 청년활동가를 위한 사회주택을 세우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침 이 자리엔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청년일자리허브가 들어와 있다. 사회적경제는 관계의 회복, 사람 중심의 경제활동을 지향한다. 민달팽이 주택협동조합 같은 곳이 바로 사회적경제조직이다.

◇"삶으로서의 집, 사는 재미가 있는 집 회복이 목표"

달팽이집 마련엔 110명의 조합원이 참여했다. 그러나 그 집에 들어가 살 수 있는 건 6명. 나머지 104명은 자신이 살 수 없는 집에 돈을 댄 셈이다. 이들이 바란 건 돈을 좀 더 버는 게 아니다. 삶을 좀 더 나아지게 하는 것이다. 그게 자신의 삶이 아니더라도.

권 이사장은 "110명이 모두 다 당장 들어가 살진 못할지라도 우리가 함께 만든 공간에 우리 중 누군가가 주거 안정을 꾀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한 ......

 

 

출처: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073108500044689&outlink=1

네이버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톡
화성시사회적경제센터 Hwaseong Social Economy Center

우) 18527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서촌길 19
대표번호 : 031-352-9400 팩스 : 031-359-8967 이메일 : 80599909@daum.net
Copyright ⓒ 2020 All Rights Reserved

  • 게시물이 없습니다.
TOP TOP 알림방 사회적기업현황 센터이야기 뉴스레터 hssvi 사회적경제 제품 카탈로그 erounshop manufacturing